경제지표란 자신의 주관적인 상황보다 국가의 경제 상황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 주로 CEO들에게 설문조사를 한다든가 하는 하는 방식이 지표를 판단하는데 가장 정확하겠지만 이것과 더불어 여러 형태의 표현이 나온다. 이 중 여자들의 스타킹을 보고 경제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참 인상에 특별하다. 스타킹을 오래 신었다는 사실을 감추기위해 긴 스커트를 입는다는 것과 여러 다양한 스타킹을 신고 있다는 사실을 알리기위해 짧은 치마를 입는 다는 가 하는 형태다. 이것은 경제대공항과 오일쇼크 등에 긴 스커트가 유행했다는 역사를 보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외에도 경제지표를 나타내는 모습이 매우 상징적이고 재밌다. 이런 이야기도 있구나!하는 걸 느끼게 하는 강의에 흥미로움을 느꼈다.
2024년 트렌드에 대해 공부하며 매년 새로운 트렌드를 알고 인식하며 살아가는 삶이 꼭 필요함을 깨닫습니다. 학장님의 실전편도 정말 유익합니다. 매년 새로운 트렌드에 대해 전망하며 준비하시는 김난도 교수님과 연구진들에 대해서도 감사합니다. 내년도 키워드는 무엇일까도 궁금하고 매년 기대되는 책입니다.
글쓴이 찰스핸디는 현86세(지금 같으면 88세는 됐을 것임)의 시대를 대표하는 지성인으로써 자신이 생각한 삶의 나아갈 길을 질문에의한 답변 형식으로 글을 썼다. 참으로 세상은 시시각각으로 변해간다. 이 무자비? 하게 변하는 삶에 대해 근본적으로 이해하는 자세에 현상을 써내려간 것처럼 느껴진다. 21가지의 살아감의 지혜를 터득하게 만든 이 시대의 현인의 목소리 다. 그대로 쌓인 채로 있기에는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
진즉에 들었었어야 했는데 늦게 몰강해서 넘넘 아쉽네요 그럼에도 짧은 시간에 수많은 정보를 주셔서 감사해요 어떻게 이렇게 많은 기능을 다 써보시고 아시는지 늘 놀랍습니다 실습시간에 따라했던 두작품을 만들고 나니 뿌듯합니다 생성형 인공지능이 아직 서투분들은 꼭 신청하고 들으셔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