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션이란 내가 나로하여금 존재할 수 있게 하는 이유가 된다. 나 자신도 존경하는 한국의 기업인이 있다. 역시 유한양행의 유일한 선생님이다. 그는 자신의 미션을 가지고 비전으로 승격해서 핵심의 가치로 만든 분이다. 우리는 특정 기업의 생산 틈새를 통해 국민건강을 증진시킨다든지, 성실한 납세로 경제의 원만한 성장과 기업이윤을 사회에 환원하는 사회 복지에 기여할 수 있다는 예를 통해 핵심가치의 실행을 도모할 수 있다.
긴 영상이었다. 프레임이란 무엇인가? 이것은 어떤 관점에서 보는가이다. 보통 프레임을 정해놓고 알고리즘만 연결시킨 것이 프레임에 대한 보편적인 이해다. 이 책은 때마침 불어오는 AI의 한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프레임을 정해놓고 알고리즘만이 계속 유통(?)되는 점은 분명 AI에게는 너무나 익숙한 과정이고 마냥 좋은 일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의 프레임 만들기는 틀린다. 우리는 프레임을 나름 만드는 관점을 가지고 문제를 재구성해서 프레임의 정의 활용을 해